소방,위험물

연소의 과정과 탄소의 성분

농촌사람 2024. 4. 4.

목차

연소란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여 빛과 열을 내는 화학변화를 말합니다.

 

연소의;과정

 

1.연소과정의 변화

① 화학변화 : 분자구조가 변하는 것 → 물질의 성질이 변하는것.

물질의 성질이 변하는 예) 나무 → 숯, 종이 → 재. 

 

 

② 화학적변화 : 황이 연소하여 이산화황이 되는 변화

☞ S(황) + O2(산소)  → SO2(이산화황).

 

③ 물리적변화

물질의 성질이 변하지않는 상태변화  ☞ H2O(물) → H2O(수증기).

 

활성화에너지

 

2.연소 에너지

연소를 하기 위해선 활성화에너지를 필요로 하는데요,

프로판이 연소할때 약0.3[mj]정도의 에너지가 필요 하게 됩니다.

 

※ 활성화에너지란?  처음 연소를 시작할때 필요한 열에너지로서 연소반응을 일으킬수 있는 에너지.

 

탄소의성분

 

3.탄소의 성분과 특성 

유기물이 타는것을 연소라 하며,탄소를 포함하고 있지요.

 

① C + O = CO

무색, 무취, 유독성, 인체의 허용농도는 50ppm.

가연성 물질이며 산화할수 있는 불완전연소상태로써 공기보다 0.95배로 가볍다.

※ 인체 흡입시 혈액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부족으로 사망에 이르게 됨. 

 

 

② CO + O = CO2

비가연성물질이며 최종산화물인 완전연소상태로써 공기보다 1.5배 무겁다.

 

※ CO2는 방사시 -83℃로 하강하게 되며, 화재시 소화약재로도 사용합니다.

 

비가연성물질

 

③ H2 + O = H2O

수증기로서 비가연성물질입니다.

이외 가죽소파가 타면 S(황), 나무가 타면 P(인)와N(질소)등이 추가로 생성이 됩니다.

 

참고사항

 

※ 참고사항

① 인화점과 연소점은 10도차 이며,연소점과 발화점의 차이는 수백도.

② 기호S : 황색·무취의 건조한 수지광택이 있는 결정.화약·성냥등의 원료(황).

③ 기호P : 질소족 원소로 공기중 발화하기쉽고 산화하면 흰연기가 남.(인). 

 

 

이상으로 연소의 과정과 탄소의 성분및 특성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