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어속담

입이 부르는 속담과 삶의 지혜

농촌사람 2025. 3. 29.

우리나라에는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속담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 속담들은 우리 선조들의 지혜와 경험이 담겨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입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기 때문에, 입과 관련된 속담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입과 관련된 속담들을 알아보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입이 부르는 속담

 

<입이 부르는 속담이란>

'입이 부르는 속담' 은 말과 관련된 한국의 전통 속담들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속담들은 주로 말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결과를 강조하며, 말하는 방식과 내용에 대한 조언을 의미합니다.

 

 

 

<속담으로 배우는 삶의 지혜>

입이 부르는 속담은 간결하면서도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짧은 문장으로, 선조들의 지혜와 경험을 전달합니다.

이러한 속담들은 우리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귀중한 교훈을 제공하며, 인생의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고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혀 아래 도끼 들었다 

속담은 말을 잘못하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이는 혀를 통제하고 신중하게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말만 하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

 

㉯ 말만 하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은 잡초가 가득한 정원과 같다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이는 신뢰성을 높이고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이 속담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해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뜻으로, 대접받고 싶으면 먼저 대접하라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상대방을 존중하고 예의 바르게 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이는 상호 존중과 평화로운 관계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혀 아래 도끼 들었다  

이 속담은 말을 잘못 하면 큰 재앙을 부를 수 있으니 항상 말을 조심하라는 뜻이며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과 일맥상통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가루는 체에 칠수록 고와지지만, 말은 길어질수록 시비가 붙을 수 있고 마침내는 말다툼까지 가게 되니 말을 삼가라는 뜻입니다.

 

㉴ 입은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하랬다

아무리 상황이 못마땅 하더라도 진실은 진실대로 밝히라는 말입니다.

 

입이 거칠다

 

㉵ 입이 걸기가 서복 개천 같다

말을 삼가지 않고 함부로 막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입이 열 둘이라도 말 못한다

잘못이 명백히 들어나 변명할 여지가 없다는 뜻.

 

㉷ 입이 여럿이면 금도 녹인다

많은 사람이 뜻을 합치면 무엇이든 할수 있다는 말.

 

 

 

㉵ 입만 살다

실천은 하지않고 입으로만 그럴 듯하게 잘한다.

 

㉶ 입에서 젖내 난다

아직 어리다는 의미로 하는 짓이나 생각이 어리고 유치하다는 의미 입니다.

 

㉷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다

매우 기뻐서 만 면에 희색이 돋는다는 의미입니다.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속담은 간결하면서도 깊은 의미를 담고 있어 상황에 따라 상대방과의 대화에 적절한 속담을 활용한다면,

자신의 의견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낼 수도 있습니다.

 

① 상대방이 자신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비난하는 경우에는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라는 속담을 인용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의 불쾌한 감정을 전달하면서 동시에 상대방의 태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② 협상이나 회의 등의 상황에서 "혀 아래 도끼 들었다" 라는 속담을 활용하여 상대방에게 말 한마디가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음을 상기시키며 신중한 발언을 촉구 할수도 있습니다.

 

 

 

사회적 이슈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도 속담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속담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거나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활용 되기도 합니다.

이상으로 입과 관련된 속담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끝.

반응형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으로 알아보는 속담  (0) 2025.02.16
모수자천(毛遂自薦)뜻 유래  (0) 2024.08.09
배은망덕 뜻 배은망덕 유래 배은망덕 한자  (0) 2023.11.14
무지의 소치 뜻  (0) 2023.09.30

댓글